전체 문서 일람   도움말   바뀐 글 RSS


  • 추가한 줄은 이 색입니다.
  • 삭제한 줄은 이 색입니다.
|이 항목은 정발 초기 이름인 [[서대지]], 별명인 [[책벌레]], 표준중국어 이름 [[쑤다이즈]] 항목으로도 들어올 수 있습니다.|
#author("2021-06-21T05:22:05+09:00","","")
|이 항목은 정발 초기 이름인 [[서대지]], 별명인 [[책벌레]], 표준중국어 이름 [[쑤다이즈]], 표준중국어 별명 [[수다이쯔]] 항목으로도 들어올 수 있습니다.|


#ref(sudaizhi.jpg)
[[접지전사 본편]]의 등장인물. 주인공 일행의 브레인이자, 해설역을 담당한다. ''접지전사의 스피드왜건.''

#contents

** 프로필 [#m9beed93]
해당 프로필은 접지전사 본편 제3 권 권두 날개에서 인용하였다.

#ref(shudaizi_profile.png)
- 별명 : 책벌레
- 나이 : 11세
- 생일 : 7월 4일
- 혈액형 : AB형
- 특기 : 독서
- 취미 : 독서
- 종이접기 실력 : 보통
- 특징 : 사고력은 뛰어나지만, 아직 이를 뒷받침할 기술이 부족하다.
- 접지전사 형태 : 자주영학

** 개요 [#u7a41b8c]
//인물의 시리즈 전체 행적에 대한 총론을 서술합니다.
//비록 완결된 지 오래 지난 작품이지만,
//스포일러를 최소화한, 함축적인 문장으로 간단히 적는 센스가 필요하겠지요?
타이완 원판에서의 이름은 &ruby(Sū){蘇};&ruby(dài){代};&ruby(zhǐ){止};(한국어:쑤다이즈). 별명은 책벌레. 이 별명은 중국어로 &ruby(Shū){書};&ruby(dāi){呆};&ruby(zi){子};(한국어:수다이쯔)라고 읽는다. 작중 이 친구를 이름인 ''대지''로 부르는 인물은 거의 없다. 그래서 결국 두 손 들고야 만다.(…)

[[책벌레]]라는 별명에서 알 수 있듯, 주인공 일행 가운데 ''지혜''를 상징하는 인물. 정령과 처음 계약하여 접지전사가 될 때는 가장 낮은 등급인 자주 등급으로 시작했고, [[아버지>소보기]]의 묘사대로 [[몸도 약하고, 운동도 싫어하고, 눈도 나빠서>그 애는 어려서부터 엄마만 아는데다가, 몸도 허약하고 눈도 나쁘다오.]] 지철이 또래에서도 최약골이었지만, 이 핸디캡을 ''두뇌 플레이''로 극복해 내고야 마는 모습에서 이를 알 수 있다.

또한 접지전사와 주변 환경의 비밀에 대해 깊이 탐구하고 깨우쳐 지철이 일행에게 알려 주는 해설사 역할도 전담한다. %%물론 지철이 일행은 이걸 들을 때마다 여지없이 지루해한다.%% 이는 주인공 일행이 상황에 대응하고 접지전사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만약 이 친구가 일행에 없었더라면, 주인공 일행은 문제 해결이 그만큼 더 늦었을 것이고, 신속하게 상황에 대처하지 못했을 것이다. 또한 독자 입장에서도 이 작품의 설정을 이해하는데 있어 없어서는 아니 될 친구. 따라서 접지전사의 스피드왜건이라는 비유는 절대 과장이 아니다.

인간관계 면에서는 다소 서툴러서, 자신의 진짜 마음을 제대로 전하지 못하기도 하고, 아버지를 이해하지 못해 마음을 닫는 모습을 보여 준다. 그러나 줄거리가 이어지면서 갈등을 어느 정도 풀고, 다른 친구들이 그러했듯 책벌레 본인도 내면의 성장을 이루는데 성공한다.
** 접지전사 형태 [#v616e3fd]
접지전사 계약을 처음 맺을 당시, [[자주영학]]으로 시작하였다. 

처음에는 일행 중 등급이 가장 낮았으나 이야기가 계속되면서 등급 상승을 거듭하여 일행 중 가장 높은 등급으로 올라가기도 한다.
** 작중 행적 [#c25f36e7]
*** [[접지전사 본편]] [#y7f53985]

첫 등장은 [[여린이>정여린]]와 함께 [[지철이>황지철]]로부터 접지전사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 것으로 시작한다. 당연히 황당하다는 반응을 보여 주고, 곧바로 본명이 아닌 ''[[책벌레]]''라는 별명으로 불리기 시작한다.

지철이에게 이끌려 학교 옥상으로 다 접은 종이학을 가지고 온 책벌레, 이 때 종이학에 '자주 보트'라는 이름이 적힌 것을 보고 그 이름을 외치자 자주 학 정령인 [[보트]]가 여린이의 [[자스민]]과 함께 등장한다.
*** [[접지전사 G]] [#hb0dcb29]

*** [[접지전사 X]] [#yc97f0e2]

*** [[접지전사 F]] [#k938f282]

** 이야기 [#f7621340]
*** 정발명과 관련한 혼란 [#w781c83f]
[[접지전사 본편]]이 처음 발매된 당시인 1997년은 한·중수교가 맺어진 지 겨우 5년밖에 이루어지지 않았고, 문화대혁명 등의 영향으로 인해 중국의 경제 수준과 컨텐츠 개발 수준 또한 뒤처져 있었다. 중국을 제외한 중화권(타이완, 싱가폴, 홍콩, 마카오 등)의 경우 경제 수준과 컨텐츠 개발 수준이 한국에 비해 크게 뒤떨어지지 않을 정도였으나, 인구를 전부 합쳐도 한국 인구보다 적다는 지역적 한계로 인해 컨텐츠의 개발이 한국에 비해 적었다. 인구가 적은 만큼 수요도 적으니까. 따라서 한국에서의 중국어 번역 수요는 2010년대에 비해 매우 빈약하였다. 그래서 홍콩의 영화 몇 편을 제외하면 중국 문화가 대중들에게 익숙하지 않았으며, 특히 대만 만화의 경우 한국인들에게 더욱 생소하였다. 또한 이 때까지만 하더라도 중국인의 이름은 비록 중국인일지라도 한자 이름을 한국어 한자 읽기에 따라 적어 소개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배경 상황에서 누가 보더라도 틀림없는 중국식 이름을 가진 등장인물을 전면에 내세우기에는 한국인 독자들에게 위화감을 조장할 위험이 있었다.

그래서 실제로 접지전사 본편을 정발할 때는 [[왕지철]], [[증려련]]과 같은 이름의 등장인물들을 보다 한국인 이름에 가까운 [[황지철]], [[정여린]] 등으로 개명하여 소개하였는데, 이 친구 또한 예외가 아니었기에 ''소대지''라는 이름을 ''서대지''로 바꾸었다. 그러나 본편 7권 즈음하여 아버지인 [[소보기]]가 등장하면서 설정충돌이 발생한다. 아버지와 아들의 성씨가 다르다니((물론 한국의 민법에서는 아버지와 자녀의 성씨가 다른 경우를 인정하고 있지만, 이것이 가능해진 것은 2008년의 일이며, 접지전사 본편이 정발되기 시작한 1997년 당시에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당연히 설정충돌이 될 수밖에 없다. 주 수요층이 저연령층인 작품 특성상 더 어리둥절해하기도 쉽고.)).
그래서 실제로 접지전사 본편을 정발할 때는 [[왕지철]], [[증려련]]과 같은 이름의 등장인물들을 보다 한국인 이름에 가까운 [[황지철]], [[정여린]] 등으로 개명하여 소개하였는데, 이 친구 또한 예외가 아니었기에 ''소대지''라는 이름을 ''서대지''로 바꾸었다. 그러나 본편 3권 즈음하여 아버지인 [[소보기]]가 등장하면서 설정충돌이 발생한다. 아버지와 아들의 성씨가 다르다니((물론 한국의 민법에서는 아버지와 자녀의 성씨가 다른 경우를 인정하고 있지만, 이것이 가능해진 것은 2008년의 일이며, 접지전사 본편이 정발되기 시작한 1997년 당시에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당연히 설정충돌이 될 수밖에 없다. 주 수요층이 저연령층인 작품 특성상 더 어리둥절해하기도 쉽고.)).

그나마 '소(蘇)'씨의 경우는 한국에도 있는 성씨이고((진주 소씨)), 아버지 소보기의 이름은 이후 작품이 계속 전개되면서 아예 굳어지는 반면 아들의 이름은 거의 거론되지 않는다. 따라서 [[접지전사 위키]]에서는 아버지의 성씨를 따라 이 친구의 이름을 ''소대지''라고 쓴다. 물론 타이완판 원판의 진짜 이름이나, 정발 초기의 이름으로도 이 문서로 링크하는 것을 허용한다.

''물론 이 문서에 들어온 접지전사 팬들 가운데에서는 그 어느 이름으로 들어온 사람보다 &color(BLUE){[[책벌레]]};라는 별명으로 들어온 사람이 훨씬 많을 것이다.''

*** 원래 이름을 이용한 말장난 [#tf4e69a3]
[[표준중국어]] 이름과 별명을 병음으로 써서 한 번 대조해 보자. 읽을 수 있는 사람은 각각 읽어 보자. 아니면 구글 번역기에 돌려서 발음을 들어 봐도 좋다. ([['소대지'의 발음>https://translate.google.com/#auto/ko/%E8%98%87%E4%BB%A3%E6%AD%A2]]|[['책벌레'의 발음>https://translate.google.com/#auto/ko/%E6%9B%B8%E5%91%86%E5%AD%90]]) 진짜 이름인 '소대지'는 ''Sū dàizhǐ''(Su-Tai-Chih)라고 읽고, 별명인 '책벌레'는 ''Shū dāizi''(Shu-Tai-Tzû)라고 읽는다. 직접 읽어보면 성과 마지막 자의 성모가 권설음((한어병음에서 zh, ch, sh, r에 당하는 성모))이냐 설치음((한어병음에서 z, c, s에 당하는 성모))이냐의 차이랑, 이름 글자의 성조의 차이 정도밖에 없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더군다나 접지전사의 본고장인 [[타이완]]에서 쓰는 표준중국어에서는 권설음의 혓발음이 강하지 않기 때문에, 더욱 비슷하게 발음하게 된다(물론 어차피, 표준중국어에서도 권설음 발음을 뚜렷하게 해낼 수 있는 지역은 정말 몇 군데 안 된다. 그래서 표준중국어를 말하고 듣는 다른 지방 사람들에게도 이는 유효하다). 그러므로 이 별명은 단순히 이 친구가 똑똑하고 해설하기를 좋아한다는 특성뿐 아니라, ''진짜 이름 가지고 말장난을 치기도 정말 좋은 별명''인 것이다!

[[한국어]]로는 원래 이름을 가지고 이런 말장난이 쉽지 않았으리라는 점에서 아쉬운 대목. 물론 중국어 '서매자(書呆子)'라는 단어가 '책벌레'라는 뜻을 가진 것은 맞지만, 작중 이 녀석이 책을 맨날 끼고 다닌다거나 하는 단서는 그닥 눈에 띄지 않았으니까. 그렇다고 '서매자'라는 단어를 당대 아이들이 알았을 리도 없고, 뜻이 통해 대신할 수 있는 다른 별명과 이름을 맞추자니 원작 이름과 갭이 너무 커진다는 문제도 있었을 것이다. 또 2010년대 들어 '설명충'이라는 단어가 한국어권 누리꾼 사이에서 널리 쓰이고는 있지만, 작품이 연재된 당시에는 그런 유행어가 없었다는 점도 아쉬움을 더한다.

어쨌든 우리는 이 친구를 ''서대지''나 ''소대지''라는 이름보다는 ''&color(BLUE){[[책벌레]]};''라는 이름으로 훨씬 많이 부르므로, 중국어 공부 살짝 한다는 마음으로 이 사실을 간단히 알아 두면 된다.
** 참고 항목 [#q89b67f0]
//따로 연결하고자 하는 내용이 있을 경우 여기에 링크를 걸어 둡시다.